Penaudio Cenya
상태바
Penaudio Cenya
  • 나병욱
  • 승인 2013.08.01 00:00
  • 2013년 8월호 (493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유의 자연스러움에 매료되는
소리의 절경
재생되는 사운드에서 무대의 넓이와 깊이감을 중시한다면서 스피커의 크기를 자꾸만 키워가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다 얼마 후에는 풀레인지의 사운드에 매료되어 스피커의 크기와는 상관없는 시간을 보내기도 했던 경험이 있다. 어찌보면 펜오디오의 센야는 필자가 반했었던 풀레인지나 동축 스피커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미드·우퍼에 채용된 유닛의 크기도 6인치이고, 크로스오버 포인트도 4000Hz로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북셀프 시스템의 장점이라면 우퍼와 트위터의 거리를 가깝게 설계함으로써 풀레인지나 동축 스피커의 재생음과 비슷한 사운드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으로 센야의 콘셉트와 맞아 떨어진다고 생각된다. 센야의 크기는 북셀프형의 스피커들 중에서도 작은 편에 속하지만 재생되는 사운드에서는 그 크기를 의심하게 하고도 남는다. 만약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한다면 실제 크기보다 훨씬 큰 스피커의 재생음이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펜오디오의 제작자 새미 펜틸라는 프로 연주자는 아니었다지만 피아노와 기타, 그리고 베이스 등 여러 악기들을 연주하면서 익혀두었던 어쿠스틱 악기들의 사운드를 이 센야에 담아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물론 그러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을 것이다. 


 설명에 의하면 인클로저를 먼저 설계·제작하여 사운드의 가능성을 고려한 후 변형과 보강 작업 등을 거친 다음 마지막 튜닝으로 시청을 거듭하며 조금씩 완성해 나간다고 한다. 따라서 인클로저의 완성도는 특별하며 보기에도 여타 스피커들의 인클로저와는 다른 면을 확인할 수 있다. 핀란드산 자작나무 합판을 수작업으로 적층해서 밀도가 각각 다른 합판을 음향 공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조합하여 만들었기에 전면 배플과 후면에는 합판의 표면이 아닌 붙여진 단면들이 세로로 줄을 긋 듯이 세워져 있다. 이는 아주 특이한 것으로 펜오디오 제품의 특징이기도 하다. 형태에서도 배플 면보다는 깊이를 2배 정도 깊게함으로써 깊이감이 좋은 저역을 실현하고 있는 것 같다. 트위터는 시어스에서 특주한 2cm 구경의 텍스타일 돔형으로 4000Hz 이상을 담당하는데, 이는 아주 높은 수치로 음에서도 자연스러울 수 있다. 마그네슘 콘으로 제작된 6인치 구경의 미드·베이스에는 진동판 중앙에 황동으로 제작된 큼직한 페이즈 플러그를 배치하여 정위감을 실현하고자 노력했으며, 재생주파수 대역은 40Hz-4kHz까지로 구경에 비해 넓은 대역을 재생한다. 


 2웨이 2유닛 베이스 리플렉스 타입으로 포트는 후면의 상단에 위치하고 WBT 바인딩 포스트가 준비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센야의 재생음은 풀레인지에서 울리는 음과 비슷하게 정위감이 좋다. 트위터와 우퍼의 거리가 가깝기에 그럴 수도 있지만 트위터에서 담당하는 재생주파수 대역이 비교적 좁기에 사운드가 자연스러울 수 있을 것이다. 작은 인클로저에 미드·우퍼의 구경도 작은 편이기에 능률은 낮은 편으로 86dB이다. 하지만 50W 이상의 파워 앰프를 만난다면 밀도감 좋고 당당한 저역을 얻어낼 것이다. 풀레인지나 동축 스피커처럼 정위감이 좋은 센야는 칭찬받아도 과하지 않을 당찬 스피커다.  
수입원 샘에너지 (02)3271-7502가격 550만원  구성 2웨이 2스피커  인클로저 베이스 리플렉스형
사용유닛 우퍼 14.5cm 시어스 엑셀, 트위터 2cm 시어스  재생주파수대역 40Hz-25kHz(±3dB)
크로스오버 주파수 4000Hz  임피던스 4Ω  출력음압레벨 86dB/2.83V/m  권장 앰프 출력 50W
크기(WHD) 16.3×28×31.5cm  무게 8kg 
493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3년 8월호 - 493호)

당신만 안 본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