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C SCM19 Ver.2 & LAB12 Integre4 & REKKORD Audio F300 & Volumio Primo V2
상태바
ATC SCM19 Ver.2 & LAB12 Integre4 & REKKORD Audio F300 & Volumio Primo V2
  • 김문부
  • 승인 2025.11.05 16:29
  • 2025년 11월호 (640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이번 가을은 어떤 소스가 어울릴까

요즘 참 음악 즐기기 좋은 시기다. 매년 브람스가 듣고 싶으면, 어느덧 선선한 날씨가 찾아왔다는 것인데, 올해도 어김없이 쓸쓸하면서도 웅장한 그 음악들이 고파지면서, 해는 어느덧 짧아지고 있다. 이제는 디지털로 들을지, 아날로그로 들을지 고민해야 할 만큼, 가성비 좋은 기기들의 풍요로움도 함께 찾아왔는데, 실제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동시에 운용하는 이들도 최근 들어 부쩍 늘어난 느낌이다. 이번에 소개할 제품도 딱 그런 이들을 위한, 진공관, 아날로그 플레이어, 스트리머 등을 함께 모아 봤다. 바로 ATC SCM19 Ver.2 스피커, LAB12 Integre4 인티앰프, 렉코드 오디오(REKKORD Audio) F300 턴테이블, 볼루미오(Volumio) 프리모(Primo) V2 DAC·스트리머 구성이다.

먼저 스피커 쪽은 ATC의 SCM19 Ver.2이다. 개인적으로도 자주 듣고, 리뷰용으로도 제법 활용하는 제품인데, 일단 음의 정확도와 단단한 저음이 단연 으뜸으로, 언제 투입해도 매칭 제품에 대한 성향이 쉽게 파악된다. 실제 SCM20으로 넘어가는 전 단계 제품으로 자주 언급되는데, 그만큼 ATC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으면서도, 또 가격적인 메리트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이다. 유닛 구성은 2웨이 2스피커, 밀폐형으로 역시 어느 정도 구동력이 제법 필요하다. 실제 구동했을 때 먹먹한 저역 소리가 나온다면, 앰프 출력이 더 필요하다는 이야기. 우퍼는 15cm로 ATC가 자랑하는 슈퍼 리니어 사양인데, 수없이 언급되는 그 ATC의 단단하고 정확한 저음이 고품질로 담겨 있다. 실제 중·저음의 레퍼런스가 도대체 무엇인지 혼란스럽다면, 이 제품을 들어보면 대번에 이해할 수 있을 정도. 정확하고 빠른 저음의 레퍼런스, 가장 정확한 표현이다. 트위터는 ATC가 자력 개발한 신 유닛으로, 표준적인 2.5cm 사양이 탑재되어 있다. 이를 통한 주파수 응답은 54Hz-22kHz. 크로스오버는 2.5kHz로 세팅되어 있고, 8Ω의 임피던스와 85dB의 감도를 가지는 스펙이다.

진공관 앰프로는 LAB12 Integre4를 투입해 봤다. 약간 낯선 이름이기도 한데, 제조국도 무려 그리스이다. 요즘 하이엔드 제품으로 그리스 태생의 브랜드들이 약진을 보이고 있는데, LAB12 역시 그중 하나로 멋지게 활약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Integre4는 LAB12를 전 세계에 알린 주력 모델로, 이들의 장기라 할 수 있는 KT150 출력관을 수준급으로 요리한 제품이다. 사실 이들의 파워 앰프 쪽은 레벨 미터를 내세운 모습이지만, 인티앰프 쪽은 특이하게도 가시성 좋은 OLED 디스플레이를 채용하고 있다. 출력은 대략 65W를 소화해내며, 튜브 롤링을 원한다면, EL34, 6550, KT88, KT120 등을 간단한 바이어스 조정으로 교체시킬 수도 있다. 소리 좋은 제품들의 특징 중 하나인 제로 피드백 설계도 착실히 강조하고 있으며, 볼륨 쪽에서도 전동식 블루 벨벳 알프스를 탑재한 모습이다. 당연히 디지털 쪽은 수용하고 있지 않으며, 아날로그 입력으로 5개의 RCA를 채용하고 있다. 헤드폰 앰프 쪽도 상단에 탑재된 모습으로, 이전에 그라도 제품을 몇 번 매칭해 봤는데, 이 쪽 실력도 만만치 않다.

다음으로 소스기기 쪽이다. 먼저 렉코드 오디오의 F300 턴테이블이다. 사실 별 기대하지 않고 몇 번 들어봤는데, 의외로 이 제품 가성비가 상당하다. 콘셉트도 제법 특이한데, 무려 풀 오토매틱 제품. 막연히 자동이라고 하면, 소리 쪽은 무심한 완전 입문용이라 선입견을 가질 수도 있는데, 렉코드 오디오의 거의 대부분 제품을 들어봤지만, 기본 소리 퀄러티는 진짜 상당한 수준이다. 말 그대로 좀더 편함이 우선이지, 아날로그적인 맛 하나 없는 그런 장난감 같은 제품이 절대 아니라는 것. 단연 유려함은 일품이고, 아날로그적인 그윽함도 멋지게 그려 내놓는다. 여기에 작동하기 편리한 구조는 일종의 보너스. 물론 내가 직접 조작하는 수동의 맛을 위한 렉코드 오디오의 상위 모델들도 준비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볼루미오(Volumio)의 프리모(Primo) V2. 볼루미오라면, 그 프로그램 이름 아니야 하는 사람들도 분명 있을 텐데, 그렇다. 그 브랜드의 하드웨어 제품이다. 소프트웨어는 최신 볼루미오 3이 탑재되어, 앱과 웹을 통해 직관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타이달, 스포티파이, 코부즈 같은 주요 스트리밍 연동 서비스는 물론이고, 스포티파이 커넥트·타이달 커넥트·룬 레디 인증까지 받아 자신만의 라이브러리를 편하게 구축할 수 있다. DAC는 ESS의 ES9038Q2M 칩셋을 사용해 안정적이고 매끄러운 소리를 뽑아내며, 볼루미오 특유의 튜닝이 더해져, 단순한 기계적 음질 좋음이 아니라, 음악적인 매력까지 강조한 음색을 들려준다. 아날로그 출력은 RCA와 XLR을 모두 지원해 범용성을 높였으며, 디지털 출력은 코액셜을 제공한다. USB 2.0과 3.0, 마이크로 SD 슬롯, HDMI 출력까지 갖춰, 활용도 높은 만능 플랫폼으로 구동 가능하다. 한마디로 요즘 트렌드에 딱 맞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멋진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는 제품이다.

우선 포노 앰프를 추가하고, 아날로그부터. 앞서도 말했지만, 렉코드 오디오의 실력, 진짜 만만치 않다. 진공관 앰프로 따스하게 피어오르는 정보량 많은 넓은 무대는 확실히 기본기가 뛰어나다는 이야기가 된다. 얇은 음상으로 째지고, 텅 빈 저역의 그런 사운드와는 거리가 먼, 우아함과 깊은 잔향을 함께 보여주는 그 무대감이 참 마음에 든다. 진공관 앰프가 슬슬 안정적으로 열이 올라갈 때쯤, 소리의 풍요로움도 한층 커지는데, 아날로그에 대한 묘한 낭만과 만족감이 LP 한 면을 다 듣게 만든다. 확실히 ATC, 빠르게 치고 빠지는 정확한 음상과 디테일이 음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낸다. 다음으로는 스트리밍. 즉각적으로 이것저것 음원을 테스트하기에는 역시 이쪽이 편하다. 너무 단조롭지도 않고, 절묘한 대역 밸런스로 무대가 표현되는데, 가격대를 생각해본다면 확실히 나쁘지 않은 사운드이다. 진공관의 색깔도 더 진득하게, 음악적으로 표현되고, 악기 사이사이의 풍성함도 빈틈없이 자연스럽게 채워나간다.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ATC가 매칭 기기들의 성향을 정말 잘 전달해내는데, 어떤 점이 좋고, 어떤 점이 장기인지 대번에 드러나게 만드는 표현력에 늘 감탄하게 된다. 녹음 좋은 음원들을 들어보면, 확실히 이 매칭 시스템의 장기가 드러나는데, 단순히 분석적인 소리가 아니라, 음악적인 배음과 특징들을 자연스럽게 그려내는 그 감각이, 확실히 음악을 계속 듣게 만든다. 입력단을 이리저리 돌리면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호화롭게 즐기는 오늘이, 왠지 모르게 가을이 찾아온 듯하다. 


ATC SCM19 Ver.2
구성 2웨이 2스피커   인클로저 밀폐형   사용유닛 우퍼 15cm, 트위터 2.5cm   재생주파수대역 54Hz-22kHz(-6dB)   크로스오버 주파수 2.5kHz   임피던스 8Ω   출력음압레벨 85dB/W/m   권장 앰프 출력 75-300W   크기(WHD) 26.5×43.8×30cm   무게 17.8kg

LAB12 Integre4
사용 진공관 KT150×4, 6N1P×4   실효 출력 65W   아날로그 입력 RCA×5   주파수 응답 15Hz-60kHz(-1dB)   입력 임피던스 50㏀   출력 임피던스 4-8Ω   헤드폰 출력 지원   크기(WHD) 43×19×29cm   무게 20kg

REKKORD Audio F300
구성 벨트 드라이브, 풀 오토매틱   속도 33, 45RPM   와우 & 플러터 0.06%   플래터 알루미늄   톤암 8.3인치   카트리지 오디오 테크니카 AT-91   크기(WHD) 43×13×36.5cm   무게 6kg

Volumio Primo V2
디지털 입력 USB A(2.0)×1, USB A(3.0)×1, Net×1, Micro SD×1   디지털 출력 Coaxial×1   HDMI 지원   아날로그 출력 RCA×1, XLR×1   출력 레벨 2V(RCA), 4V(XLR)   블루투스 지원(Ver5.0)   룬 레디 지원   에어플레이 지원   네트워크 지원   전용 어플리케이션 지원(Volumio)

640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25년 11월호 - 640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