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ans M1
상태바
Swans M1
  • 이종학(Johnny Lee)
  • 승인 2015.03.02 00:00
  • 2015년 3월호 (512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날에 찾아온 아주 반가운 손님

설날을 코앞에 둔 시점에서 흥미로운 전화가 한 통 걸려왔다. 뛰어난 가성비를 지닌 스피커가 수입되었으니 한 번 들어보라는 것이다. 한데 그 수입원이 헤르만 오디오로, 그간 멜로디라는 걸작 진공관 앰프를 수입해온 회사 아닌가. 오랜 기간에 걸쳐 사랑받은 제품을 핸들한 이상, 여기서 손을 댄 스피커라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 믿음을 준다. 이번에는 어떤 매력으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까?
M1이라 명명된 모델을 시청하기 전, 간단하게 몇 개의 리뷰를 읽어봤다. 본지에도 이미 제작사 스완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고, 본 기의 윗 버전인 M3에 대한 시청평도 나와 있다. 여기서 나는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회사는 대규모 스피커 메이커다. 단순히 홈 오디오만 만드는 것이 아니고, PA부터 홈시어터, 스튜디오 등 다양한 제품을 만든다. 이를 위해 직접 드라이버를 제조한다. 특히, 리본 트위터에 대한 기술력은 상당하다고 한다.
리본이라? 이 대목에서 약간 고개를 갸우뚱하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몇 가지 오해가 리본 트위터 주변을 맴돌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방사각은 넓지만 직진성이 약하다던가, 자주 고장이 난다거나, 구동하기가 쉽지 않다거나…. 그러나 분명 확실한 장점을 갖고 있으니, 바로 다른 어느 트위터에 비교할 수 없는 개방감이다.

가끔 외국 평론가들이 이것을 ‘Airy’ 혹은 ‘Open’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 우리식으로 하면 개방감이다. 어떤 개방감이냐? 마치 뚜껑이 없는 컨버터블이나 위가 확 트인 공간을 연상하면 좋다. 예를 들어 바이올린이나 여성 보컬의 경우, 일체 스트레스 없이 음이 가볍게 다가오면서, 뭔가 확 트인 기분이 느껴진다. 이런 청량감을 맛보고 나면, 통상의 트위터는 뭔가 막힌 듯하다. 물론 그게 스펙상의 이유만은 아닐 것이다. 어차피 30kHz를 재생하냐, 40kHz를 넘기느냐 하는 것은, 어떤 면에서 호사가들의 입방아일 수도 있으니까.
이제 M1이 설치된 용산의 모 숍에 들어갔다. 반갑게 사장님이 맞이한다. 마침 안쪽에 별도의 시청실이 있어서 누구 눈치 보지 않고 들을 수 있다. 설치도 용이하고, 볼륨도 마음껏 올릴 수 있다. 한데, 당연히 매칭되리라 봤던 멜로디가 보이지 않고, 눈에 익은 제품이 두 스피커 사이에 놓여 있다. 바로 오라 노트 아닌가? 그러고 보니 M1과 사이즈라던가 외모 등 여러 면에서 궁합이 맞을 것 같다. 오랜 기간 다양한 기기를 섭렵하다보니 그냥 보기만 해도 좋은 음이 나올 것 같은 그림이 있다. 바로 오라 노트와 M1이 그랬고, 실제로 들어보면 그 예상이 전혀 빗나가지 않았다.
그런데 M1의 만듦새가 심상치 않다. 인클로저로 말하면 이탈리아의 소누스 파베르나 오페라, 차리오, 디아파송 등에서 볼 수 있는 외관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가볍게 통을 두드려보면 아주 단단하고 또 매끈하다. 이 가격대에 어떻게 이런 인클로저를 제공하고 거기에 리본 트위터까지 달았을까 의아하기만 하다. 또 리본만 해도 앞에 약간의 홈을 판 패널을 덧대어 일종의 혼라이크(Hornlike)한 형상을 구축했다. 방사각과 에너지 두 마리의 토끼를 포획하기 위함이다.

이윽고 본격적으로 음을 들었다. 과연 오라 노트의 신선하면서 투명한 음이 그대로 반영되어, 한없이 펼쳐진 해변가를 보는 듯 전망이 좋고, 마음이 개운해진다. 이 가격대에 이런 퍼포먼스를 들려준 스피커는 여태껏 한 번도 없다. 대부분 답답하거나 뭔가 왜곡되어 있다. 과연 이게 바로 리본의 미덕이란 말인가?
우선 비발디의 바이올린 소나타 C단조를 들어본다. 파브리치오 치프리아니가 연주하는 바이올린의 반려자는 피아노가 아닌 첼로다. 두 현악기가 침투력이 강한 음으로 우아하게 공간을 점유한다. 선율 하나하나에 혼이 담겨 있으면서 깊은 아름다움을 갖고 있다. 가슴이 두근거릴 만큼 매혹적인 음이다. 만일 누가 이 음을 들었다면 최소 몇 백만원의 가격표를 매겼으리라.

이어서 베토벤의 트리플 콘체르토. 카라얀 지휘로 요요 마, 무터 등의 젊은 날을 만날 수 있다. 베토벤 특유의 장중하면서 엄격한 분위기가 살아 있으면서, 세 독주자들의 기백과 개성이 낱낱이 들어난다. 제일 먼저 놀란 것은, 전 대역이 마치 하나의 유닛에서 나오는 듯한 일체감이다. 우려했던 미드·베이스와 트위터 간의 위화감이 전혀 없다. 시간축도 맞고, 음색도 동일하다. 약간 달콤하면서 쌉싸름한 맛이 느껴지는 것은, 결국 소스에 담긴 정보에 충실한 탓이리라.
반대로 일렉트릭 악기가 난무하는 샤데이의 ‘No Ordinary Love’를 들어본다. 나직이 배후를 감싸는 신디의 음향이 무척 신비스럽고, 샤데이의 목소리는 강력한 카리스마로 압도해온다. 진한 커피 맛의 음색이 이토록 매력적으로 재생되기는 쉽지 않다. 거기에 춤추듯 꿈틀거리는 베이스라인의 정교함은 곡에 활력을 더해주고 있다. 그간 오라 노트에 다양한 스피커를 매칭해서 들었지만, 이처럼 생동감이 넘치고, 개방적이며, 매혹적인 음은 흔치 않았다. 조심스럽게 스완의 성공을 점쳐보게 된다.

수입원 헤르만오디오 (010)4857-4371
가격 135만원(스탠드 별매)   구성 2웨이 2스피커   인클로저 베이스 리플렉스형 
사용유닛 우퍼 12.7cm F5, 트위터 리본 RT1   재생주파수대역 53Hz -40kHz   임피던스 8Ω 
출력음압레벨 86dB/2.83V/m   파워 핸들링 10-60W   크기(WHD) 21×33×27.6cm   무게 8kg

512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5년 3월호 - 512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