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mund Logos 1N+2N
상태바
Goldmund Logos 1N+2N
  • 신우진
  • 승인 2012.08.01 00:00
  • 2012년 8월호 (481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욱 완벽에 가까워진 골드문트 사운드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로고스 1N+2N 스피커는 골드문트 최첨단 기술인 프로테우스 시스템과 레오나르도 프로젝트의 구현이라 보면 된다. 그리고 그 시작을 골드문트는 가장 대표 모델인 1+2로 시작했다. 그리고 완벽한 풀 골드문트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는, 결국 골드문트의 오디오적인 지향점과 일치하는 것으로 봐야 될 듯하다. 공교롭게도 이번 시청은 동일 수입원의 같은 스위스 국적 제품이고, 둘 다 공통점이 많은 골드문트와 FM 어쿠스틱스의 스피커이다. 워낙 앰프가 정평이 나있으니, 상대적으로 스피커는 그 존재가 가려져 있기는 하다. 하지만 골드문트의 스피커는 익히 알고 있듯 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플래그십 모델이 뉴욕의 한 박물관에 전시되어 화제가 되었지만, 워낙 가격대도 비싸고 우리나라 주거 환경에는 너무 부담스러운 크기였다. 어찌 보면 이 로고스 1N+2N이 가장 주력이라 할 수 있겠다. 아랫도리의 우퍼 2발이 역상으로 놓여 있고, 윗부분은 2웨이 스피커가 자리 잡고 있다. 별도의 몸체는 강성의 철제가 연결되고, 실제 하중은 이른바 골드문트의 메커니컬 그라운딩의 흉기 수준의 철제 스파이크로 지지되어 있다. 북셀프+서브우퍼 개념의 3웨이 스피커이다. 외형상 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다만 두 스피커를 연결하는 철제 구조물 모서리 곳곳에, 중국을 겨냥한 듯 더 많은 금장의 골드문트 로고가 더 많이 들어간 듯하다. 블랙, 실버, 그리고 금장 마크의 디자인 공식이다. 


 하지만 1N+2N은 기존의 스피커와는 확연히 다른 차이를 가진다. 우선 우퍼뿐 아니라 고역까지 풀 액티브로 구성된다. 골드문트 앰프가 각각의 유닛에 하나씩 내장되는 레오나르도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전에 내가 본지 4월호, 텔로스 154에서 설명한 멀티앰핑을 자사의 스피커에 적용한 모델이다. 역시 이 스피커는 오로지 디지털 입력만을 가지고 있고, 각 앰프의 앞 단에는 DAC가 내장된, 굳이 말하자면 '디지털식 멀티앰핑' 구조를 가진다. 덕분에 무게는 무척이나 무거워졌다. 그리고 일반 스피커 케이블은 연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이 스피커는 골드문트로만 울릴 수 있다. 하긴 이전 1+2 모델도 다른 회사 앰프로 구동은 가능하지만, 골드문트 앰프로 울리는 것 이외에는 나는 본 적이 없다. 같은 크기지만 파워 앰프, DAC를 모두 가지고 있기에 보이는 구성은 오히려 단출하다. 연결 가능한 모델은 메티스 10, 미메시스 15, 미메시스 16·16HD, 그리고 미메시스 32 등의 골드문트 디지털 프리와 소스 기기만 있으면 된다. 결국 보기에는 아주 심플하고 깔끔하게 구성해 놓을 수가 있다. 현대적인 거실에 스피커와 단 두대의 기기만으로도 완벽하게 3웨이 멀티앰핑이 가능하다. 그리고 앞서 거론된 프리앰프들은 본지를 통해 수차 소개된 프로테우스 시스템을 통한 음질의 튜닝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로고스 1N+2N 스피커는 골드문트 최첨단 기술인 프로테우스 시스템과 레오나르도 프로젝트의 구현이라 보면 된다. 그리고 그 시작을 골드문트는 가장 대표 모델인 1+2로 시작했다. 그리고 완벽한 풀 골드문트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는, 결국 골드문트의 오디오적인 지향점과 일치하는 것으로 봐야 될 듯하다. 그 지향점은 내가 생각하는 것과는 조금은 달랐다. 퀸의 앨범으로 시작한 시청은 프레디 머큐리가 강렬하게 외쳐대고, 로저 테일러의 드럼은 마치 스피커에서 철봉 하나 뽑아 두드리듯 단단하다. 이 특징은 클래식을 들어도 변함은 없었다. 콘트라베이스의 줄이 끊어지는 것이 아닐까 걱정을 하게 하는 강한 음색. 내가 생각하던 아기자기한 오르페우스 쳄버의 모습은 아니었다. 간간히 내가 지적하던, 그리고 십여년간 골드문프 앰프를 쓰면서 느낀 치명적인 단점인 무대의 원근은, 스피커 때문인지 프로테우스 시스템 때문인지 무척 깊이감이 생겨난다. 


 돌이켜 보니 나 역시 골드문트 앰프로 초반은 정전형 스피커를 울렸고, 나중에는 에소타를 울렸을 뿐이고, 여러 시청에서 순정의 조합보다는 다른 스피커, 특히 예쁜 고역을 내는 순한 스피커를 주로 들었을 뿐인 듯하다. 지금 1N+2N이 만드는 소리는 생각해 보니 스피커를 만들지 않았던 초기 앰프 (예를 들어 미메시스 7 또는 2와 8, 9번대 앰프) 소리와 많이 닮아 있다. 순정 조합에서 하늘거리듯 세밀한 예쁜 고역은 상대적으로 덜했지만, 무대가 넓고 깊으면서 더욱 더 스피드한 반응을 보였고, 팀파니나 드럼은 무척이나 잔향 시간이 짧으면서 임팩트가 강렬하면서도 중역대가 충실해 대역이 고루 잘 분포되어 있었다. 부실한 부품, 마케팅이 만든 허상, 수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골드문트가 건재한 것은 끊임없는 연구 개발을 통해 이렇게 좋은 음을 만들어 낸 것 때문이다. 그리고 프로테우스, 레오나르도 프로젝트로 인해 오히려 오디오 마니아가 할 역할(수고라면 수고, 재미라면 재미)이 확 줄어들었다. 일면 서운하기도 하지만 반대 입장에서는 그렇지도 않다. 오래전 내가 1+2를 처음 만난 곳은 한 지역 유지의 시청실이었다. 제법 큰 공간이지만, 이 스피커 사이에 당시 골드문트의 최고급 라인의 앰프들과 고가의 하이엔드 소스 기기가 빼곡하게 차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소리가 좋지 않았다. 여러 문제점이 보였지만 어디서부터 손을 대라고 할수도 없는 막막한 음이었다. 이제 골드문트 1N+2N은 더 이상 그런 일은 없을 것 같다. 


 수입원 오디오갤러리 (02)926-9085가격 1억2천만원 
481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2년 8월호 - 481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