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intosh XRT1K
상태바
Mcintosh XRT1K
  • 이종학(Johnny Lee)
  • 승인 2012.07.01 00:00
  • 2012년 7월호 (480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킨토시가 만들어낸 음향의 절정
 가장 감동적이었던 것은 들국화의 '그것만이 내 세상'. 과연 이렇게 몰아치는 드럼과 베이스를 들은 적이 있었던가? 전성기의 전인권이 뿜어내는 하이 톤의 강렬함은 온몸에 소름이 돋게 한다. 끈끈한 기타의 솔로는 또 어떤가? 우리가 공연장에 가면 들을 수 있는 밸런스 그대로 여기서 나온다. 시간과 공간이 순식간에 녹음 당시로 이동하는 상황. 더 이상 무슨 묘사가 필요할까?  지난 1월의 일이다. 매킨토시 탐방을 위해 빙햄턴에 갔다가, 마지막으로 시청실로 향했다. 처음 보는 포름의 스피커들이 사방에 쭉 늘어선 가운데, 본격적인 서라운드 체험이 시작됐다. 그런데 처음 건 곡의 음량이 너무나 엄청나 무슨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닌가 싶었다. 이러다 스피커가 나가는 게 아냐 싶었지만, 10분간 계속 틀어도 아무 문제가 없었다. 이윽고 정상 볼륨에서 다양한 음악을 들었는데, 그 나긋나긋한 질감은 계속 뇌리에 떠나지 않았다.그러다 4월 중순, 서울 오디오 쇼를 위해 본격적으로 이 스피커를 듣게 되었다. 모델명은 XRT1K. 약 2미터 정도의 높이도 높이지만, 무려 74개의 유닛이 촘촘히 박힌 모습은 그 자체로 압도적이다. 3/4인치 사양의 트위터 28개, 2인치 미드레인지 44개 그리고 10인치 우퍼 2개. 이것은 일종의 라인 소스라 부를 만한 바, 뭔가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서 이렇게 만들지 않았을까?


 서둘러 스피커 설계를 쭉 담당해온 칼 밴델더 씨에게 메일을 보냈다. 몇 가지 의문 사항을 문의했더니 다음과 같은 답변이 왔다. 우선 라인 소스를 활용하면 서비스 에어리어가 넓어진다는 것이다. 여럿이 들을 때 옆으로는 물론 앞뒤로도 충분히 음장을 만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심지어 앉아서 듣거나 일어서서 들어도 변함이 없다는 것이다. 충분히 납득이 되었다. 사실 라인 소스로 설계하면 음의 에너지도 훨씬 향상된다. 일반 스피커에 비해 2배 정도의 힘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확실히 이 스피커는 대형이고, 상당한 공간을 전제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또 재미있는 것은, 고역이면 고역, 중역이면 중역 등을 여러 개의 유닛이 담당하기 때문에, 유닛 하나당 받는 에너지가 크지 않다는 점. 그래서 지난 번 본사에서 그 엄청난 음량으로 틀어도 일체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이다. 당연히 이런 스피커는 출력이 센 파워 앰프가 필수. 동사에서 제작한 MC1.2KW가 대안으로, 이 정도 가격에, 이런 완벽한 보호 회로를 채용한 파워 앰프를 다른 회사의 제품으로 고른다면, 아마 옵션이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즉, 매킨토시는 소스부터 스피커까지 하나의 시스템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간 앰프만 주로 들어왔던 유저라면, 이런 완결된 시스템으로 구성된 매킨토시를 의식해봄직도 하다. 실제로 동사는 맨해튼, 소호, 웨스트체스터, 레퍼런스 등으로 구분해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에 MEN220과 같은 룸 튜닝 기기를 더한다면, 그 만족도는 훨씬 더 올라갈 것이다.사실 이전에도 매킨토시의 스피커들이 소개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때만 해도 중·고역과 저역 쳄버를 구분하고, 아날로그 방식의 이퀄라이저를 채용하는 단계였다. 당시 기술로서는 이런 제안이 선진적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일단 중·고역과 저역의 쳄버가 구분되면, 특히 저역의 영향에서 중·고역이 자유로울 수 있다. 또 네트워크가 아닌 이퀄라이저를 써서 더 음성 신호의 순수성을 추구할 수 있고, 방의 상황에 맞는 튜닝도 가능했다.하지만 이를 위해 두 대의 스테레오 파워가 필요하고, 일일이 손으로 수많은 밴드를 조절한다는 것은 강제 노역과 다름없었다. 물론 스가노 씨와 같은 평론가는 평생 이 제품을 애용하며 즐겼지만, 일반인에겐 부담스러운 게 사실.그런 점에서 1K는 일단 두 쳄버를 합체시켜도 일체의 상호 간섭이 없을 정도로 완결된 스피커를 만들었다는 장점이 있고, 디지털 방식으로 알아서 연산하는 MEN220의 존재로, 부담스런 이퀄라이저의 압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해야 한다. 아니, MEN220은 본 기에 필수이므로, 하나의 시스템으로 생각하는 편이 좋을 듯하다.행사를 진행하면서 참 많은 음악을 들었다. 행사의 성격상 대편성 위주였는데, 그 결과는 참으로 놀라웠다. 예를 들어 얀센이 연주한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의 경우, 마치 콘서트에 온 듯한 입체적 음향과 에너지가 감동적이었다. 오케스트라와 독주자가 서로 주고받으며 치닫는 대목이 박진감 넘치게 다가와 참관객들 모두 숨을 죽일 수밖에 없었다. 재즈의 경우, 킥 드럼이나 더블 베이스의 존재가 탁월해, 현장에서 듣는 음 그대로였다. 트럼펫이 나와 솔로를 펼치면 그 음향은 행사장 뒤편까지 그대로 전달되었다. 가장 감동적이었던 것은 들국화의 '그것만이 내 세상'. 과연 이렇게 몰아치는 드럼과 베이스를 들은 적이 있었던가? 전성기의 전인권이 뿜어내는 하이 톤의 강렬함은 온몸에 소름이 돋게 한다. 끈끈한 기타의 솔로는 또 어떤가? 우리가 공연장에 가면 들을 수 있는 밸런스 그대로 여기서 나온다. 시간과 공간이 순식간에 녹음 당시로 이동하는 상황. 더 이상 무슨 묘사가 필요할까?  



 수입원 로이코 (02)335-0006가격 5,300만원  구성 3웨이  인클로저 베이스 리플렉스형 사용유닛 우퍼(2) 25cm, 미드레인지(44) 5cm 티타늄, 트위터(28) 1.9cm 티타늄  
재생주파수대역 20Hz-45kHz  크로스오버 주파수 250Hz, 2kHz임피던스 8Ω  출력음압레벨 88dB/2.8V/m  파워 핸들링 1200W크기(WHD) 27.9×200.6×64.7cm  무게 77kg 
480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2년 7월호 - 480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